database
-
스키마와 쿼리 디자인database 2020. 4. 28. 13:08
개인 프로젝트 DB 스키마 짜기 전에 관련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. 하나의 서비스를 만든다고 가정할 때화면의 구성을 상상해보면 👉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.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쭉 적어보고, 그 데이터들의 관계를 정하면데이터의 구조에 따라 서버를 만들고, 클라이언트를 만든다. 지금까지 진행할 프로젝트는 이런 순서로 진행했다.화면의 큰 그림을 생각하고, 스키마를 짜고, API 문서를 작성했다.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란?데이터 구조를 짜는 것, 그 설계도를 스키마라고 부른다.간단한 수강신청 시스템을 예로 들어,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짜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. 수강신청 시스템에서 필요할 것 같은 데이터들을 추려보면 이렇게 정리해 볼 수 있다.교수님, 강의, 학생 각각 하나의 테이블이고,어쩌고 저쩌고..
-
관계형 VS 비관계형 (NoSQL) 데이터베이스database 2020. 4. 15. 23:26
관계형 비관계형 설명 장점 단점 제품군 Redis에 대해 알아보다가 NoSQL의 장점들을 보고 그럼 관계형 DB의 장점이 뭔가!???? 싶어서 정리해봤다. 그리고 적재적소에 쓰기 위해서는 둘을 구분하고, 비교할 수 있어야 할 것 같아서... 정리,, 한다.. 참조: https://hang95-coding.tistory.com/6 https://newehblog.tistory.com/38?category=834445 [database] 관계형 DB와 비관계형 DB의 차이점 안녕하세요~ 오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관계형 DB 일반적으로 우리가 배워왔던 Mysql, Oracle, Mssql 같은 고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.. newehblog...
-
레디스(Redis)란 무엇인가?database 2020. 4. 15. 23:23
요즘 채용공고를 많이 보고 있는데 역시 세상엔 알고 싶은 것들이 많다. Redis가 자꾸 눈에 띄는데 뭔지 궁금해서 검색해 봄 일단 NoSQL이 뭔지는 대충 감으로 no SQL (SQL이 아니다)ㅋㅋㅋㅋ 이렇게 생각했는데 Not Only SQL이라고 한다. 약간 애매하게 맞았는데..? 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그것도 MySQL 하나만) 다뤄 봤지만 역시 DB가 한 종류만 있을리가.. 없었다. NoSQL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다. 키-밸류나 컬럼, 문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. NOSQL은 대량의 데이터를,, 효.율.적.으로 처리해야할 때 데이터의 분산처리, 빠른쓰기 및 데이터의 안정성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. 이걸 알게 된 후 내 마음 ?? 그럼 관계헝DB의 장점은 뭐지.. 왜 쓰는 거야.. 관..
-
-
[AWS]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DS 사용하기database 2020. 4. 14. 19:05
협업할 때 로컬에서 개발하면 각자 환경이 달라서 내 로컬에선 되는데 상대방 로컬에서는 안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. 그래서 DB는 그냥 처음 시작할 때부터 배포하고 시작하면 편하다. SQL DB는 RDS서비스에서 임대해주고 있다. RDS에서 생성할 수 있는 DB 종류는 뫄뫄뫄다. 개인 포트폴리오 배포용으로 만드는거라 프리티어로 사용한다. 1. 데이터 베이스 인스턴스 생성 RDS에 접속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자. 프리티어 옵션으로만 사용해야 과금되지 않음! 아마존 오로라는 프리티어에서 제공 X 일단 써 본 게 MySQL이라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MySQL을 사용한다. MySQL 버전도 선택해 줄 수 있다. 8.0.11 버전으로 선택했다. DB인스턴스 식별자를 지정한다.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암호도 설정해준..
-
ORM(Object-Relational Mapping)database/ORM 2020. 2. 14. 16:24
데이터베이스를 처음 배우고 쿼리문을 익히면서 뭔가 사용할 줄 아는 언어가 하나 늘어나서 뿌듯하기도 한데 한 파일 안에서 이 언어도 쓰고, 저 언어도 쓰고 하니까 복잡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 이런 생각한 사람 한 둘이 아니었는지,, ORM이라는 도구가 있다는 걸 알게 되는데,,, ORM은 Object-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딱 봐도 뭔가 객체랑 연관이 있어 보인다. 우리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)으로 클래스를 만들고 그 틀에 맞는 새로운 인스턴스들을 찍어내는데..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만들고 레코드를 추가하는 모습이 마치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닮았다고 생각한 누군가가 그럼 데이터베이스도 객체를 사용해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겠다..! 이런 느낌으로 ORM을 만든 것 같다. 사실 처음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