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AWS]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DS 사용하기database 2020. 4. 14. 19:05
협업할 때 로컬에서 개발하면 각자 환경이 달라서
내 로컬에선 되는데 상대방 로컬에서는 안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.
그래서 DB는 그냥 처음 시작할 때부터 배포하고 시작하면 편하다.
SQL DB는 RDS서비스에서 임대해주고 있다.
RDS에서 생성할 수 있는 DB 종류는
뫄뫄뫄다.
개인 포트폴리오 배포용으로 만드는거라 프리티어로 사용한다.
1. 데이터 베이스 인스턴스 생성
RDS에 접속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자.
프리티어 옵션으로만 사용해야 과금되지 않음!
아마존 오로라는 프리티어에서 제공 X
일단 써 본 게 MySQL이라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MySQL을 사용한다.
MySQL 버전도 선택해 줄 수 있다.
8.0.11 버전으로 선택했다.
DB인스턴스 식별자를 지정한다.
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암호도 설정해준다.
RDS인스턴스에 VPC EC2만 접근할 수 있어도 되는데
다양한 MySQL 클라이언트 툴로
RDS인스턴스에 접속하려면 퍼블릭 엑세스를 허용해야 함
포트는 3306이 MySQL 기본 포트인데
보안상의 이유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시키는 건 위험할 수 있어서
3306 말고 약간의 변이를 준다.
데이터베이스 이름은 인스턴스 이름 말고
진짜 DB이름 얘기하는 거
나머지 기본 설정은 넘어가도 된다.
EC2 인스턴스에 MySQL 설치하고 DB 셋업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
RDS 인스턴스 생성하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
나는 20분 걸렸음,,ㅎㅎ
2. 이렇게 만든 인스턴스를 서버랑 연결시키기
나는 Node.js Express 서버에 ORM은 Sequelize 사용해서 연결한다.
MySQL 클라이언트 툴은 뭐였지 이름 까먹음; 그거 쓰는데..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키마와 쿼리 디자인 (0) 2020.04.28 관계형 VS 비관계형 (NoSQL) 데이터베이스 (0) 2020.04.15 레디스(Redis)란 무엇인가? (0) 2020.04.15